top of page

문화지리와 여행

 

손승호 교수님

[2013.08.13]

ㅋ.....

프린트도 무식하게 많고

포강하는학생이 정말 매우 많음.

비추.

수업을 들을 의욕이 안생김

수업 풀로채워서함

시험문제는 주관식 단답형이라 풀만하긴 한데 쨌든 비추

 

 

김종혁 교수님

일단 내 학점은 A0다.
평가 방식은
우리나라 시군 외우기와 우리나라 그리기가 20% 각각 10%임.
시군은 우리나라의 수백개 도시를 다 외운 다음 교수가 한 20개?인가 불러줌. 그럼 대충 그곳에 맞게 점을 찍음. 북한은 도까지는 안 그리고 대한민국은 도까지 다 그림. 난 도시는 다 외웠지만 우리나라를 못그려서 15.5가 나왔음...

그 다음이 여행가고 싶은 해외지역 여행보고서 작성임. 이게 30%
조별로도 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도 할 수 있는데 난 조별로 했음. 그런데 개인별로 하는 게 더 나은 거 같음.
몇 몇 잘한 조는 발표도 시킴. 점수는 모름

그 다음이 우리나라 시군 중에서 한 곳의 지역정체성에 관한 보고서. 20%
난 내 고향했음. 분량 형식 자유임. 기말고사날 제출하라고 하니까 미리하는 게 좋음. 점수 모름

그 다음이 문화지리학의 주요 개념에 근거해서 우리나라의 문화지역을 구분하는 글쓰기임. 이게 30%
여기는 무슨 문화권 저기는 또 무슨문화권 구분하는 거임. 수업시간 내내 교수님이 문화지리에 대해서 말하는데 머리에 잘 들어오지는 않음.
이거는 시험전에 미리 자기가 만든 다음에 기말고사날에는 미리 작성한 내용을 그냥 옮겨 적고 오는 거임. 거의 과제. 점수 모름

나머지가 출결. 출석은 초반에는 안 부르다가 기말고사 이후에는 자주 부르더라.

종합 의견 : 이 교수가 연구교수라 그런지 잘 가르치지는 못함. 앉아서 계속 듣기는 들었는데 딱히 남은 게 없는 수업임.
뒤에 앉은 애들은 거의 쉬는 시간 이후에 가거나 과제 하더라. 난 계속 들었는데....
그냥 한 학기 동안 문화지리나 여행에 관해서 교수가 말하는 거 듣다가 끝났음.
별 5개 만점에 2.5개.

 

bottom of page